분류 전체보기 71

결핵(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결핵(Tuberculosis, TB)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주로 폐를 침범하지만 신장, 뼈, 중추신경계 등 다른 장기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결핵은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공기로 전파되며, 전염력이 강한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으나, 적절한 항결핵제 치료로 완치될 수 있습니다.  결핵 치료약물리팜핀 (Rifampin): 광범위한 항균작용을 가지며, 결핵 치료의 핵심 약물 중 하나입니다.이소니아지드 (INH):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결핵제입니다.피라진아미드 (PZA): 초기 집중 치료에 사용되며, 결핵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에탐부톨 (Ethambutol): 다제 내성 결핵 치료에 사용됩니다. 항결핵 ..

건강관리 2024.10.29

폐렴(약물치료 및 부작용관리, 생활습관)

폐렴은 폐의 공기 주머니(폐포)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폐렴의 유형에는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 병원 획득 폐렴(HAP), 그리고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이 있습니다. 각각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  출처:ATS/IDSA 2016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dsociety.org) Hospital-acquired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HAP/VAP) www.idsociety.orgDiagnosis ..

건강관리 2024.10.28

상기도 감염(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상기도 감염상기도 감염(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URTI)은 코, 인후(목구멍), 부비동, 후두 등 상부 호흡기의 염증성 감염을 의미합니다.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흔한 원인은 감기, 인플루엔자, 인두염, 급성 부비동염, 급성 후두염 등이 있습니다. URTI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특히 겨울철에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출처: 서론/사용시 유의사항/방법 (otologicalsociety.or.kr) https://www.otologicalsociety.or.kr/member/file/2014_01.pdf www.otologicalsociety.or.kr  주요 증상코막힘 또는 콧물기침목 통증(인후통)두통열 또는 발열재채기원인상기도 감염은 주로 바이러스(예:..

건강관리 2024.10.27

뇌수막염(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뇌수막염은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막(수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드물게는 곰팡이나 기생충 감염, 약물 반응, 자가면역 질환 등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습니다. 뇌수막염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뇌 손상, 청력 손실, 심각한 신경학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가이드라인 출처:대한감염학회 (ksid.or.kr) https://www.ksid.or.kr/rang_board/list.html?code=ncov_guide_do&num=5420 www.ksid.or.kr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Bacterial Meningitis (idsociety.org) Bacterial..

건강관리 2024.10.26

갑상샘 질환 (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갑상샘은 목 앞쪽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 기관으로, 신체 대사와 에너지 조절에 중요한 호르몬인 **티록신(T4)**과 **트리요오드티로닌(T3)**을 분비합니다. 갑상샘 질환은 이 호르몬들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갑상샘기능항진증) 부족하게 분비될 때(갑상샘기능저하증) 발생합니다. 출처: 2016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erthyroidism and Other Causes of Thyrotoxicosis - PubMed (nih.gov) 2016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erthyroi..

건강관리 2024.10.25

당뇨병 (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혈액 내 당(포도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만성 질환으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거나 인슐린 분비가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인슐린은 혈당을 세포로 보내 에너지로 사용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당뇨병은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제1형 당뇨병: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거의 또는 전혀 생산되지 않는 상태.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이 생겨 몸이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인슐린 분비가 점차 감소하는 상태.당뇨병 유발 요인유전적 요인: 가족력은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비만: 특히 제2형 당뇨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합니다.운동 부족: 신체 활동이 부족하면 혈당을 조..

건강관리 2024.10.24

신장이식 (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신장이식 후 환자는 이식된 신장이 이물질로 인식되어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이 약물들은 수혜자의 면역 체계가 이식된 신장을 공격하지 않도록 억제해 주며, 이식 거부 반응을 예방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이 외에도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감염 예방, 혈압 조절, 콜레스테롤 관리 등을 위해 다양한 약물을 함께 복용할 수 있습니다. 가이드라인 출처: KDIG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acute kidney injury - PubMed (nih.gov)  신장이식 환자가 복용하는 주요 약물1. 예방요법 (1) 유도요법Basilximab: 저위험군 1차 약제rabbit antithymocyte globuln(RATG): 고위험군 환자 1차 약..

건강관리 2024.10.23

만성 신장병 (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만성 신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은 신장이 손상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점차적으로 상실하는 질환입니다. 신장은 혈액을 여과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며, 혈압을 관리하고, 적혈구 생성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만성 신장병이 진행되면 신장의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신부전에 이를 수 있으며,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성 신장병의 유발 요인다양한 요인들이 만성 신장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유발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당뇨병:만성 신장병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당뇨병입니다. 고혈당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신장에 있는 미세 혈관들이 손상되어 신장 기능이 점차적으로 악화됩니다.고혈압:고혈압은 신장 혈관에 압력을 가해 손상을 일으..

건강관리 2024.10.22

바이러스성 간염(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바이러스성 간염은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간 질환으로, 주로 A형, B형, C형, D형, E형 간염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각 바이러스성 간염은 전염 경로와 임상적 경과가 다르며, 치료 방법과 예방책도 다릅니다.바이러스성 간염의 종류 및 유발 요인A형 간염 (Hepatitis A)유발 요인: A형 간염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염되며, 주로 위생 상태가 열악한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이나 대변-경구 경로로도 전염됩니다.A형 간염은 급성으로 나타나며 만성으로 발전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자연 치유되지만, 드물게 심각한 간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B형 간염 (Hepatitis B)유발 요인: B형 간염은 혈액, 체액, 성적 접촉을 통해 전염됩니..

건강관리 2024.10.21

간경병증 (약물치료 및 부작용, 생활습관)

간경변증(간경화, liver cirrhosis)은 간 조직이 만성적인 손상을 입어 정상 간세포가 섬유화 조직으로 대체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간 기능이 저하되고, 간의 구조가 변형되며, 간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됩니다. 간경변증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을 수 있지만, 진행되면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간경변증의 유발 요인간경변증의 주요 원인들은 간 손상을 일으키는 요인들입니다. 가장 흔한 유발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만성 바이러스성 간염B형 및 C형 간염: 만성적인 바이러스 감염이 간의 염증과 손상을 일으키고, 장기간에 걸쳐 간경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알코올 남용장기간 과도한 음주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되고, 염증 및 섬유화가 발생하여 간경변증으로 진행될 수 ..

건강관리 2024.10.20